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74
75
76
77
78
79
80
81
82
83
84
85
86
87
88
89
90
91
92
93
94
95
96
97
98
99
100
101
102
103
104
105
106
107
108
109
110
111
112
113
114
115
116
117
118
119
120
121
122
123
124
125
126
127
128
129
130
131
132
133
134
135
136
137
138
139
140
141
142
143
144
145
146
147
148
149
150
151
152
153
154
155
156
157
158
159
160
161
162
163
164
165
166
167
168
169
170
171
172
173
174
175
176
177
178
|
# //// 자료형 ////
# 문자열
print(‘Hello world’)
print(‘안녕’ * 3)
print(‘안녕’ + ‘하세요’)
print(‘안녕하세요’[3]) # 3 번째 문자 추출
# 정수 실수
print(type(‘hello world’)) # 자료형 알기 -> <class ‘str’>
print(type(1)) # 자료형 알기 -> <class ‘int’>
print(type(–1)) # 자료형 알기 -> <class ‘int’>
print(type(–1.3)) # 자료형 알기 -> <class ‘float’>
print(type(–1.0)) # 자료형 알기 -> <class ‘float’>
# 형변환 typecasting
# int() float() str()
print(type(int(–1.0))) # 자료형 알기 -> <class ‘int’>
print(type(float(1))) # 자료형 알기 -> <class ‘float’>
print(type((1+3.1))) # 자료형 알기 -> <class ‘float’>
# 정수 + 실수연산은 실수로 변한다
# 변수
# 1. 문자와 숫자, 그리고 언더스코어 기호(_)로만 이루어져야 하고,
# 2. 숫자로 시작할 수 없으며,
# 3. 파이썬에서 기본적으로 사용하는 단어인 예약어(Reserved Words)로는 지정할 수 없습니다.
x = 1232.221
print(x+3333)
# Boolean
# bool 을 처리할때, True = 1 , False = 0
bool_a = True
print(bool_a) #True
print(type(bool_a)) # bool
print(True+True) # 2라는 값이 나옴
# Comparison Operators(비교 연산자)
# a < b // a가 b보다 작다면 True, 아니라면 False
# a <= b // a가 b보다 작거나 같다면 True, 아니라면 False
# a > b // a가 b보다 크다면 True, 아니라면 False
# a >= b // a가 b보다 크거나 같다면 True, 아니라면 False
# a == b // a가 b와 같다면 True, 다르다면 False
# a != b // a가 b와 다르다면 True, 같다면 False
# 문자열끼리의 비교도 가능합니다.
# 문자열의 비교 조건은
# 1. 먼저 나오는 문자가 대문자일수록
# 2. 사전 순으로 먼저 오는 문자열일수록
# 3. 문자열의 길이가 짧을수록
# 작은 문자열입니다.
# ‘aAa’ < ‘aaa’ // 1번조건, True
# ‘abc’ < ‘bac’ // 2번조건, True
# ‘aa’ < ‘aaa’ // 3번조건, True
# ‘Ba’ < ‘aa’ // 1번 vs 2번, True
# ‘Aaaaaaa’ < ‘a’ // 1번 vs 3번, True
# ‘abbbbb’ < ‘b’ // 2번 vs 3번, True
# 조건문
if True:
print(‘True!!’)
print(‘True!!’)
print(‘end’)
if False:
print(‘False!!’)
print(‘end’)
if(1 > 3):
print(‘1>3’)
if(1 < 3):
print(‘1<3’)
score = 86
if(score < 50):
print(‘score < 50’)
elif(score < 70):
print(‘score < 70’)
elif(score < 80):
print(‘score < 80’)
else:
print(‘score >= 80’)
# 반복문
n = 1
while n<20:
print(n)
n=n+1
if(n == 9):
break
if(n == 5):
continue
# 입력
# 항상 문자열 형태로만 저장되며, 형변환을 통해 원하는 자료형으로 사용한다.
str_input_a = input(‘str_input_a : ‘)
print(‘str_input_a : ‘+ str_input_a)
# 리스트
num_list = [1,2,3]
num_list[0] = 10
num_list[1] = 4.2
num_list[2] = 10
num_list2 = [‘string’,False,4,4.2,[1,2,3]]
# list에는 bool float 다른 list까지 들어간다
print(num_list2[4][0]) # num_list2의 2차원 배열 첫번째값
del(num_list2[4][1]) # 2차원배열 3번째값 삭제
num_list3 = num_list + num_list2
# 튜플
# 여러가지의 데이터를 담을 수 있는 자료형
# 저장된 값을 언제든 수정 및 삭제 할 수 있는 리스트와는 달리
# “튜플”은 처음에 한번 저장한 값을 수정하거나 삭제할 수 없다.
tuple_a = (1,2,3)
tuple_b = 1,2,3
tuple_c = (1) #한개만 있을경우 , 이 없으면 tuple이 아니다
tuple_d = (1,‘hello’,[‘array’,232])
print(type(tuple_a)) # 자료형 알기 -> <class ‘tuple’>
print(type(tuple_b)) # 자료형 알기 -> <class ‘tuple’>
print(type(tuple_c)) # 자료형 알기 -> <class ‘int’>
print(type(tuple_d)) # 자료형 알기 -> <class ‘tuple’>
print(tuple_d[2])
# 딕셔너리 (사전)
# 특정 단어와 의미가 함께 한 세트
dic_a = {“안녕” : ‘ 편하게 하는 인삿말’}
dic_b = {‘Name’ : ‘YeonS’ , ‘Age’ :19 , ‘Item’: [‘apple’,‘kiwi’,‘banana’]}
# value를 가지고 오고 싶을땐, key를 넣는다.
print(dic_b[‘Name’])
# 수정
dic_b[‘Name’] = ‘MinSu’
print(dic_b[‘Name’])
# 추가
dic_b[‘Weight’] = 70
print(dic_b[‘Weight’])
# 삭제
del(dic_b[‘Weight’])
# 같은 딕셔너리 안에 key가 중복해서 지정될경우 마지막 키값만 남게된다.
# For
for_list = [‘a’,‘b’,‘c’]
for idx in for_list:
print(idx)
for_list2 = [(1,2),(‘하나’,‘둘’)]
for (idx1,idx2) in for_list2:
print(“첫번째언소 “ + str(idx1),“두번째원소 “ + str(idx2))
# Range
for i in range(5,10):
print(i)
|
cs |